오늘은 우리나라 속담 모음 100가지를 준비해보았습니다. 속담은 한국인들이 일상 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문구 중 하나입니다. 단순한 말씨로 구성되어 있지 않지만, 그 안에는 깊은 지혜와 경험이 담겨 있죠. 우리는 속담을 통해 우리의 생활, 사고, 행동, 인간관계, 도덕과 같은 다양한 측면에서 더욱 더 성숙한 사람이 될 수 있습니다.
ㄱ
속담 모음 100가지
[ㄱ] 시작하는 속담
-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.
- 가랑비에 옷 젖히고 말것보다 낫다.
- 가재는 게 편이라.
- 개똥도 약에 쓰려면 없다.
- 거지도 천리마를 탄다.
- 걱정은 팔자.
- 겨울이 지나면 봄이 온다.
- 고양이에게 생선을 맡기다.
- 고생 끝에 낙이 온다.
- 고슴도치도 제 새끼가면 부지런해진다.
- 공자 앞에서 문자 쓰기.
- 공든 탑이 무너지나니 이는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.
- 공부는 신이고, 노력은 다함께.
- 공을 세번 차고 뜨거운 물에 넣으면 차가운 물이 된다.
- 구르는 돌에는 이끼가 끼지 않는다.
- 궁하면 궁속의 이유를 물어라.
- 군자는 살아 있는 성전이요, 소인은 무너진 성전이다.
- 굴러온 돌이 박힌 돌 뺀다.
- 굴러온 돌이 언제나 천천히 굴러간다.
- 김칫국부터 마시게 해라.
ㄱ
[ㄴ] 시작하는 속담
- 낙화유수.
- 남의 떡이 커보인다.
- 남이 해 준 일은 손으로 치면서도 감사해야 한다.
- 내 일이 남의 일이 된다.
- 내일의 떡이 오늘의 밥보다 달다.
- 누워서 떡 먹기.
- 눈에는 눈, 이에는 이.
ㄱ
[ㄷ] 시작하는 속담
- 당근이 된 것을 가지고 소금 물 먹듯 한다.
- 당나귀에게는 귀가 무겁다.
- 닭장 넘어 김치날개.
- 대기만성.
-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너라.
- 동네 속담처럼 사소한 것도 크게 바라보면 중요하게 느껴진다.
- 두 손이 박수를 친다.
- 둥지를 파다.
[ㅁ] 시작하는 속담
- 마른 하늘에 날벼락.
- 말이 씨가 된다.
- 말이 씨가 되고 행동이 산이 된다.
- 말 한마디에 천냥 빚을 갚는다.
- 망치로만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없다.
- 망자의 미움을 사지 말라.
- 맡은 바를 다하자.
- 멋진 꿈을 꾸어보아라.
- 멍청한 개는 쓸데없이 울어대고, 못된 사람은 쓸데없는 말을 한다.
- 물을 맑은 샘에서 얻듯이 도덕적인 가치를 배우라.
- 물에 빠진 사람은 자기 발로 움직여야 한다.
-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힌다.
ㄱ
[ㅂ] 시작하는 속담
- 바늘 도둑이 소 도둑 된다.
- 바보는 죽고 지혜는 산다.
- 밥그릇이랑 김치그릇이랑 같아야 밥이 맛있다.
-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.
- 불을 끄지 말고 장작을 준비하라.
- 불치병 끝에 나는 불치자가 되었다.
- 불행 중 다행이 있고, 다행 중 불행이 있다.
- 불행은 가족만 남긴다.
- 비굴한 사람은 언제나 실망을 받는다.
- 뻐꾸기도 알면 속 더듬어 본다.
[ㅅ] 시작하는 속담
- 사공이 많으면 배가 산으로 간다.
- 사람은 마음이 넓어야 한다.
- 산 넘어 산.
- 상상력을 발휘하라.
- 서당 개 삼년이면 풍월을 읊는다.
- 서로의 이익을 위해 일하라.
- 세 살 버릇 여든까지 간다.
- 세월이 약이다.
- 손발이 서로 맞아야 소리가 좋다.
- 소귀에게는 귀가 없다.
- 소문난 장님에게 법이 없다.
- 소 잃고 외양간 고친다.
- 속담은 사람을 어른되게 한다.
- 수박 겉핥기.
- 술취한 채로 말하지 마라.
- 스승의 은혜는 하늘같다.
- 시간은 금이다.
- 신뢰는 천천히 쌓이고 쉽게 무너진다.
- 실수는 용납되어야 한다.
- 십년이면 강산도 변한다.
- 싫은 녀석은 굴러라.
ㄱ
[ㅇ] 시작하는 속담
-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날까.
- 아니오 없는 땅에서 만나는 고양이.
- 아는 만큼 말하라.
- 아침에 새가 우는 구름은 저녁에 비온다.
- 애매한 것보다 명백한 것이 낫다.
- 앞머리가 서면 코가 굵다.
- 앞이 보이지 않으면 뒤를 볼 수 없다.
- 업보는 무소유, 나보다 못한 사람 없다.
- 열 번 찍어 안 넘어가는 나무 없다.
- 열심히 일한 만큼 보상받는다.
- 오늘 한 번 찍어보고 내일은 칼로 자른다.
- 우물 안 개구리.
- 운수 좋은 날에는 백 황산도 타보아라.
-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진다.
-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도 맑다.
- 윷놀이에 잠긴 사나이처럼 되지 말라.
- 이승의 도를 걷는다면 인간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.
- 일석이조.
ㄱ
[ㅈ] 시작하는 속담
- 자연이 말하는 지혜.
- 장님에게 채소 먹은 토끼.
마무리
오늘은 우리나라 속담 모음 100가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우리나라 속담은 우리 문화와 역사, 그리고 지혜와 가치를 담은 소중한 문화 유산입니다. 속담들은 한 마디의 말로 묵직한 지혜와 인생의 경험을 전해주며, 우리의 삶에서 큰 영향을 끼칩니다.
관련 카테고리
https://bamkyul.kr/category/life-information/